사진 |
작물명 |
육성년도 |
육성기관 |
품종명 |
주요특성 |
 |
논벼 > 통일형벼 |
2022 |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아미면(Amimyeon) |
향미, 고아밀로스(26.7%), 가공용(쌀면 등)
|
 |
논벼 > 일반벼 |
2022 |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한가득(Hangadeuk) |
가. 중생종, 밥맛우수, 쌀외관 및 완전미 도정수율 우수
나. 도열병 중강, 흰잎마름병(K1, K2, K3), 줄무늬잎마름병 저항성
다. 용도: 밥쌀용(외래품종 대체와 김포지역 브랜드쌀 원료곡) |
 |
논벼 > 일반벼 |
2022 |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당찬진미(Dangchanjinmi) |
ㅇ 중만생, 중립종, 숙색 및 밥맛 우수
ㅇ 도열병 중, 흰잎마름병(K1-K3)․줄무늬잎마름병 강
ㅇ 밥쌀용 |
 |
논벼 > 일반벼 |
2022 |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참진미(Chamjinmi) |
○ 중생종, 밥맛 우수, 완전미 도정수율 우수
○ 도열병 중, 흰잎마름병(K1-K3) 강, 줄무늬잎마름병 강
○ 밥쌀용 |
 |
논벼 |
2022 |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아미쌀(Amissal) |
중만생, 자포니카 장립종
도열병 중, 벼흰잎마름병(K1∼K3) 강, 내수발아성 |
 |
논벼 > 일반벼 |
2022 |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새오대1호(Saeodae1ho) |
가. 조생종, 중립, 고품질, 쌀 외관 및 밥맛 우수
나. 내도복성, 도열병, 흰잎마름병(K1, K2, K3) 강
다. 용도 : 밥쌀용 |
 |
논벼 |
2022 |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엠와이362브이피(MY362VP) |
가. 조평과 비슷한 출수 특성을 갖고 있으며 단간 내도복성임
나. 흰잎마름병(K1, K2, K3), 줄무늬잎마름병 저항성을 갖고 있음
다. 벼 조기재배에서 백미완전미율이 높고(90.6%) 수발아율이 낮아(1.9%) 육종소재로서 활용성이 높음 |
 |
논벼 > 일반벼 |
2022 |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 |
다평(Dapyeong) |
가. 조생종, 작부체계용 단기성, 소득작물 전·후작 겸용
나. 키다리병 중강, 도열병, 흰잎마름병(K1∼K3) 및 줄무늬잎마름병 강
다. 용도 : 밥쌀용 |
 |
논벼 > 특수미 |
2022 |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 |
진옥찰(Jinokchal) |
가. 중만생종, 찰벼
나. 내도복, 키다리병 중강, 흰잎마름병(K1∼K3) 및 줄무늬잎마름병 강
다. 용도 : 가공용 및 혼반용 |
 |
논벼 |
2021 |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아하미(Ahami) |
O 일대잡종벼, 중만생, 열대아시아 적응, 장립형 향미
O 도열병, 흰잎마름병(K3a 포함), 줄무늬잎마름병 저항성, 도정특성 양호
O 용도 : 밥쌀용(동남아시아 종자수출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