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용 관련 학회지 논문
- 작성일
- 2012.03.19
- 시인
- 정지용
- 등록자
- 관리자
- 조회수
- 2887
1. 강낙숙, 정지용 시 작품의 특질 연구, 인문사회과학논문집 36, 2005.
2. 강신주, 정지용의 시에 나타난 죽음 이미지, 원우논총 7, 1989.
3. 강찬모, 정지용 시와 시론에 나타난 4단7정 고찰-이이의 기발이승일도설을 중심으로, 시 문연구 51, 2006.
4. 강호정, 와 의 변증법-정지용의 를 중심으로, 한성어문학 21, 2002.
5. 강홍기, 정지용 산문시 연구, 인문학지 9, 충북대 인문학연구소, 1993.
6. 고명수, 한국 모더니즘 문학의 공간체험-정지용과 김기림의 경우, 동국어문학 6, 1994.
7. 고형진, 정지용 시의 이미지 연구, 어문학연구 7, 1998.
8. 구연식, 신감각파와 정지용 시 연구, 동아논총 19, 1982.
9. 구연식, 정지용 시의 기교가 현대시에 끼친 영향, 국어국문학 100, 1988.
10. 국원우, 정지용론, 중앙어문연구 1, 1983.
11. 권국명, 한국 현대 가톨릭 시의 전개양상-정지용, 이효상, 구상을 중심으로, 한국말글학 22, 2005
12. 권오만, 정지용 시의 은유 검토, 시와 시학 14, 1994.
13. 권정우, 정지용 시론 연구 -전통과 근대의 대립에 대한 지용의 입장, 개신어문연구 25, 2007.
14. 권정우, 정지용의 바다 시편과 산 시편의 연속성 연구, 비교한국학 12, 2004.
15. 금동철, 정지용 시론의 수사학적 연구, 한국시학연구 4, 2001.
16. 금동철, 정지용 후기 자연 시에 나타난 기독교적 자연관, 한민족어문학 51, 2007.
17. 금동철, 정지용의 시 에 나타난 자연의 의미, 우리말글 45, 2009.
18. 금효중, 정지용의 휘트먼 시 번역에 관한 고찰, 한민족어문학 21, 1992.
19. 김구슬, 정지용과 윌리엄 블레이크, 비교한국학 15, 2007.
20. 김구슬, 정지용의 논문 과 원전 비평, 동서 비교문학저널 7, 2002.
21. 김기현, 정지용 시 연구-그 생애와 종교 및 종교시를 중심으로, 돈암어문학 2, 1989.
22. 김동근, 정지용 시의 공간체계와 텍스트 의미,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22, 2004.
23. 김명옥, 정지용 시에 나타난 상실과 소외 의식, 한국어문교육 9, 2000.
24. 김명옥, 정지용 시에 나타난 유토피아 의식과 이상향 추구, 한국어문교육 10, 2001.
25. 김명옥, 정지용 시에 나타난 현대문명과 도시성, 비평문학 12, 1998.
26. 김명인, 근대화 과정과 시적 대응 - 정지용의 경우, 한국문학연구 5, 1997.
27. 김명인, 정지용의 考, 경기어문학 4, 1983.
28. 김문주, 기독교 신앙과 근대적 주체의 문제-정지용과 김현승의 시를 중심으로, 문학과 종교 12, 2007.
29. 김미란, 정지용 동시론, 청람어문학 30, 2005.
30. 김석환, 정지용 시의 기호학적 연구, 인문과학논문집 32, 2001.
31. 김석환, 정지용의 초기 시 연구, 명지어문학 19, 1990.
32. 김수복, 정지용 시의 ‘산’의 상징성, 논문집 32, 1998.
44. 김수복, 정지용 시의 ‘물’의 상징유형 연구, 논문집 30, 1996.
45. 김승구, 정지용 시에서 주체의 양상과 의미, 배달말 37, 2005.
46. 김신정, ‘미적인 것’의 이중성과 정지용의 시, 현대문학이론연구 14, 2000.
47. 김신정, 완벽한 시간의 꿈과 아름다움의 추구-정지용 시의 시간 의식 연구, 상허학보 3, 1996.
48. 김신정, 정지용 산문 연구, 상허학보 5, 2000.
49. 김신정, 정지용 시에 나타난 ‘자기’와 ‘타자’의 관계, 비평문학 12, 1998.
50. 김영미, 정지용 시의 운율 의식, 한국시학 연구 7, 2002.
51. 김영옥, 정지용의 초기 시에 나타난 시의식과 형상성 연구, 언어논집 31, 2003.
52. 김용희, 정지용 시에 나타난 신경쇠약증과 언어적 심미성에 관한 일 고찰, 한국문학 논 총 47, 2007.
53. 김용희, 정지용 시에서 은유와 미적 현대성, 한국문학논총 35, 2003.
54. 김용희, 정지용 시에서 자연의 미적 전유, 현대문학의 연구 22, 2004.
55. 김유중, 정지용 시정신의 본질,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19, 2003.
56. 김윤정, 정지용 시의 공간지향성 연구, 한민족어문학 47,2005.
57. 김재홍, 시의 위의와 정지용 그리고 김지하, 시와 시학 46, 2002.
58. 김재홍, 시인 정지용의 언어미술, 기초조형학 연구 9, 2008.
59. 김정임, 정지용 시론 연구, 솔뫼문학 1, 1985.
60. 김종윤, 지용 문학에 대한 몇 가지 의문, 한국시학 연구 7, 2002.
61. 김종태, 정지용 ‘백록담’의 공간의식, 한국문예비평연구 10, 2002.
62. 김종태, 정지용 시의 문명 인식, 한국시학 연구 7, 2002.
63. 김종태, 정지용 시의 죽음의식 연구, 우리어문연구 16, 2001.
64. 김지녀, 정지용과 미요시 다쓰지의 시 비교 연구, 비교한국학 16, 2008.
65. 김지연, 정지용의 시론과 시에 관한 연구, 인문과학연구 1, 1996.
66. 김창완, 정지용의 시세계와 변모양상, 한남어문학 16, 1990.
67. 김창원, 정지용의 후기 시 연구 - 시집 『백록담』을 중심으로, 경기어문학 9, 1991.
68. 김태봉, 정지용 시의 중국고전 수용 양상, 중국문학 32, 1999.
69. 김태봉, 정지용 시와 중국 시의 고향과 농촌에 대한 묘사 비교 연구, 서호문화 논총 15, 2001.
70. 김태석, 정지용의 동시 연구- 동시의 특징과 아동문학사적 위치, 원형 16, 1997.
71. 김효신, 가톨리시즘과 정지용 시, 인문과학연구 6, 2005.
72. 김효중, 정지용 시의 영역에 관한 고찰, 번역학 연구 3, 2002.
73. 김효중, 정지용의 휘트먼 시 번역에 관한 고찰, 한민족어문학 3, 2002.
74. 김 훈, 정지용 시의 고전주의적 성격과 이미지즘의 영향, 새국어교육 33, 1981.
75. 김 훈, 정지용 시의 리듬의 구조, 인문과학연구 12, 2004.
76. 남기혁, 정지용 초기 시의 ‘보는’ 주체와 시선의 문제, 한국현대문학연구 26, 2008.
77. 남송우, 정지용 시가 『청록집』에 미친 영향, 한국문학논총 5, 1982.
78. 노귀남, 정지용 시에 나타난 삶의 양식, 경희어문학 10, 1989.
79. 노병곤, 정지용과 전통의식, 한민족문화연구 4, 1999.
80. 노병곤, 지용의 생애와 문학관, 한양어문 6, 1988.
81. 류소영, 정지용 「무서운 시계」에 대한 한 읽기, 시와 시학 18, 1995.
82. 마광수, 정지용의 시 「溫情」과 「삽사리」에 대하여, 인문과학 51, 1984.
83. 마상영, 정지용 시의 스페인어 번역에 있어서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에 관한 연구, 스페 인어문학 38, 2006.
84. 문진아, 정지용 시 연구, 청람어문학 8, 1993.
85. 문혜원, 정지용 시에 나타난 모더니즘적 특질에 관한 연구, 관악어문학연구 18, 1993.
86. 민병기, 지용 시의 변형 시어와 묘사, 한국시학 연구 6, 2002.
87. 박경수, 정지용의 시 「향수」론, 외대논총 16, 1997.
89. 박경수, 정지용의 일어 시 연구, 비교문화연구 11, 2000.
90. 박기태, 정지용 시 연구, 한국어문학연구 10, 1999.
91. 박노균, 정지용의 문학사상과 서구 모더니즘, 개신어문연구 15, 1998.
92. 박노균, 정지용 시어의 해석, 개신어문연구 20, 2003.
93. 박노균, 정지용 시의 연속성, 개신어문연구 25, 2007.
94. 박노균, 정지용과 김광균의 이미지즘 시, 개신어문연구 8, 1991.
95. 박노균, 정지용과 서구문학, 개신어문연구 16, 1999.
96. 박노균, 정지용의 난해 시어 해석, 개신어문연구 22, 2004.
97. 박노균, 정지용의 문학사상과 서구 모더니즘, 개신어문연구 15, 1998.
98. 박노균, 정지용의 시작품 분석-「향수」와 「유리창 1」, 개신어문연구 19, 2002.
99. 박명옥, 정지용의 「옥류동」와 이백의 「망노산 폭포」비교 연구, 한국문학이론과 비 평 11, 2007.
100. 박명옥, 정지용의 「장수산 1」과 한시의 비교연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27, 2005.
101. 박명용, 정지용 시 다시 들여다보기, 비평문학 15, 2001.
102. 박명용, 정지용 시 다시 보기, 인문과학논문집 32, 2001.
103. 박수진, 정지용 시 연구-이미지 분석을 중심으로, 성심어문논집 17, 1995.
104. 박순원, 정지용 시에 나타난 색채어 연구, 비평문학 24, 2006.
105. 박민영, 정지용 시의 상상력 연구, 한국시학 연구 2, 1999.
106. 박종갑, 정지용의 휘트먼 시 번역에 간한 고찰, 한민족어문학 21, 1992.
107. 박주택, 『정지용 시집』에 나타난 동경과 낭만적 아이러니 연구, 한국언어문화 38, 2009.
108. 박태일, 새 발굴 자료로 본 정지용의 광복기 문학, 어문학 83, 2004.
109. 박혜숙, 운전 이창용 박사 화갑 기념호 : 무욕의 철학으로 승화한 노,장 세계-정지용 의 「백록담」, 겨레어문학 8, 1983.
110. 박현수, 미학주의의 현실적 응전력-정지용의 「도굴」론, 어문학 100, 2008.
111. 사나다 히로코, 정지용 후기 산문시의 상징성과 사회성에 대한 고찰, 어문연구 29, 2001.
112. 서경식, 정지용 시의 변천과정- 내면의식을 중심으로, 어문학교육 4, 1981.
113. 서승옥, 정지용의 시에 나타난 이미지, 한국어문학연구 13, 1973.
114. 소래섭, 정지용의 시 「유선애상」의 소재와 의미, 한국현대문학연구 20, 2006.
115. 손미영, 정지용 시 연구, 돈암어문학 4, 1991.
116. 손민달, 정지용과 백석 시의 전통 생태의식 비교 연구, 어문학 99, 2008.
117. 손병희, 정지용 시 연구, 문학과 언어 16, 1995.
118. 손병희, 정지용 시의 구성 방식, 어문논총 37, 2002.
119. 손병희, 정지용 시의 시간과 공간, 인문학논총 2, 2003.
120. 손병희, 정지용 시의 현상학적 연구, 문학과 언어 14, 1993.
121. 손병희, 정지용의 과 분석, 문학과 언어 12, 1991.
122. 손병희, 정지용의 시 「카페 프란스」분석, 인문과학연구 1, 1999.
123. 손병희, 정지용의 시와 타자의 문제, 어문학 78, 2002.
124. 손병희, 정지용의 초기 시의 형태, 솔뫼어문 논총 14, 2002.
125. 손종호, 정지용 시 「나무」의 기호학적 분석, 문예시학 7, 1996.
126. 손종호, 정지용 시의 기호체계와 가톨리시즘, 어문연구 29, 1997.
127. 송기섭, 정지용의 산문 연구, 국어국문학 115, 1995.
128. 송기태, 정지용 시의 의미구조, 동악어문논집 20, 1985.
129. 송기한, 정지용의 「향수」에 나타난 고향의 의미, 우리말 글 28, 2003.
130. 송기한, 열림과 닫힘의 변증법-정지용론, 시와 시학 2, 1991.
131. 송정종, 정지용 시 연구 : 특히 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교육논총 7, 1990.
132. 신범순, 정지용 시에서의 초상과 언어의 특성, 한국현대문학연구 6, 1998.
133. 신범순, 정지용 시에서과 산문 양식의 문제, 한국현대문학연구 5, 1997.
134. 신범순, 정지용의 시와 기행산문에 대한 연구-혈통의 나무와 덕, 혹은 존재의 평정을 향한 여행, 한국현대문학연구 9, 2001.
135. 신용협, 정지용론-초기작품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 19, 1980.
136. 신 진, 정지용 시와 현실, 국어국문학 8, 1988.
137. 신 진, 정지용 시의 기반적 심상연구, 대학원논문집 16, 1991.
138. 심원섭, 명징과 무욕의 이면에 있는 것 : 정지용의 시작 방법과 내적 욕망의 구조, 한 국문학연구 5, 1997.
139. 양왕용, 김일근 박사 회갑기념 : 가치평가의 대립과 그 극복-정지용 시 연구 2, 겨레 어문학 9, 1985.
140. 양왕용, 정지용의 문학적 생애와 그 비극성, 한국시문학 5, 1991.
141. 양왕용, 정지용의 , 시와 시학 13, 1994.
142. 양혜경, 정지용 시에 나타난 미의식의 수용 양상, 어문논집 24, 1998.
143. 양혜경, 정지용의 전통지향성, 백양인문논집 2, 1997.
144. 양혜경, 정지용의 전통 지향적 시관, 동남어문논집 4, 1994.
145. 여태천, 정지용의 언어와 이미지의 세계, 한성어문학 4, 1985.
146. 오봉옥, 정지용 시 연구, 현대문학의 연구 17, 2001.
147. 오형엽, 시적 대상과 자아의 일체화, 혹은 공간화 - 김기림과 정지용의 비 교 분석, 한국문학논총 24, 1999.
148. 원명수, 정지용 시에 나타난 소외의식 연구, 어문학 52, 1991.
149. 원명수, 정지용의 가톨릭 시에 나타난 기독교사상 考, 한국학논집 17, 1990.
150. 유성호, 정지용의에 관한 연구, 현대문학의 연구 14, 2000.
151. 유태수, 정지용 산문론, 관악어문연구 6, 1981.
152. 윤여탁, 정지용 시의 변모 양상과 그 교육적 의미, 현대문학이론연구 5, 1995.
153. 윤의섭, 부정의식과 초월의식에 의한 정지용 시의 변모 과정, 한중인문과학연구 14, 2005.
154 윤의섭, 정지용 시에 나타난 시간성의 수사학적 의미, 한국시학 연구 9, 2003.
155. 윤한태, 정지용 소고, 논문집 12, 1989.
156. 이길연, 정지용의에 나타나는 기하학적 상상력, 우리어문연구 25, 2005.
157. 이문걸, 정지용 시의 색상, 새얼어문 논집 1, 1985.
158. 이미순, 정지용 시의 수사학적 일 고찰, 한국현대문학연구 3, 1994.
159. 이미순, 정지용의 다시 읽기, 한국시학 연구 5, 2001.
160. 이민호, 정지용 시에 나타난 의미의 사회적 생산 분석,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19, 2003.
161. 이상오, 정지용 시의 과 상상적 자연, 인문학연구 34, 2007.
162. 이상오, 정지용 싱의 자연 은유 고찰, 한국현대문학연구 16, 2004.
163. 이상오, 정지용 후기 시의 시간과 공간, 현대문학의 연구 26, 2005.
164. 이상오, 정지용의 산수 시 고찰, 한국시학 연구 6, 2002.
165. 이상오, 정지용의 초기 시와 에 나타난 자연 인식, 인문학연구 49, 2005.
166. 이상호, 정지용 시정신의 갈등에 관현 연구, 국제어문 26, 2002.
167. 이선이, 정지용 후기 시에 있어서 전통과 근대, 우리문학연구 21, 2007.
168. 이수정, 정지용 시에서의 의미와, 한국현대문학연구 12, 2002.
169. 이숭원, 정지용 시「유리창」읽기의 반성, 문학교육학 16, 2005.
170. 이숭원, 정지용 시에 나타난 도시 문명에 대한 반응, 태릉어문연구 1, 2006.
171. 이숭원, 정지용 시의 환상과 동경, 문예시학 1, 1988.
172. 이숭원, 정지용의 생애와 시적 성장에 대한 연구, 인문논총 3, 1996.
173. 이숭원, 정지용의 초기 시편에 대한 고찰, 국어교육 97, 1998.
174. 이숭원, 정지용 「유리창」에 나타난에 대하여, 시와 시학 22, 1996.
175. 이승복, 정지용 시의 운율 연구, 인문과학논문집 32, 2001.
176. 이승철, 정지용 시 연구, 인문과학논집 17, 1997.
177. 이승철, 정지용의 「유리창 1」연구, 국어문학 45, 2008.
178. 이승하, 일제하 기독교 시인의 죽음의식-정지용?윤동주의 경우, 어문논집 27, 1999.
179. 이장호, 정지용의 「향수」, 시와 시학 4, 1991.
180. 이종대, 정지용 시의 세계인식- 세계의 거부와 융섭, 한국문학연구 19, 1997.
181. 이창민, 정지용 시의 미적 특성과 한계, 한국학연구 16, 2002.
182. 이태희, 소월과 지용의 시조, 시조학 논총 26. 2007.
183. 이태희, 정지용 시의 체험과 공간, 언어연구 34, 2006.
184. 이형권, 정지용 시의와 감정의 차원,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19, 2003.
185. 이희중, 정지용 초기시의 방법 비판, 한국근대문학연구 2, 2001.
186. 이희춘, 우수와 초월의 시학-정지용론, 한국어문연구 5, 1990.
187. 임문혁, 정지용론, 청람어문학 2, 1989.
188. 임상석, 정지용 후기 시의 시적 상황-「호랑나비」?「예장」?「곡마단」등을 중심으로, 우리문학연구 15, 2002.
189. 임영천, 시인 정지용의 전기적 의문점에 관한 고찰, 인문과학연구 12, 1990.
190. 임영천, 정지용의 신앙 시와 전기적 의문점, 기독교 사상 34, 1990.
191. 임용택, 정지용과 일본 근대시, 비교문학 17, 1992.
192. 임홍빈, 정지용 시「유선애상」의 소재와 해석,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집, 2006.
193. 장도준, 상실과 극복의 시적 여정-정지용론, 한국 말글학 22, 2005.
194. 장도준, 정지용 시의 표현 특징, 국문학연구 14, 1991.
195. 장도준, 정지용 시의 음악성과 회화성, 국문학연구 13, 1990.
196. 장도준, 정지용의 생애와 문학, 연세어문학 20, 1987.
197. 장도준, 정지용의 시론 연구, 계명어문학 4, 1988.
198. 장도준, 정지용의 시론의 연구, 한국어문 연구 4, 1988.
199. 장도준, 정지용의 시집 『백록담』의 세계와 미적 논리, 한국어문 연구 5, 1990.
200. 장석원, 정지용 시의 리듬, 한국시학 연구 21, 2008.
201. 전동진, 정지용 시의 시간성 연구, 현대문학이론연구 27, 2006
202. 정구향, 정지용의 초기 시에 나타난의 의미 연구, 논문집 30, 1990.
203. 정효구, 정지용의 시 「향수」와 陰의 상상력, 한국시학 연구 19, 2007.
204. 조영복, 정지용의 「유선애상」에 나타난 꿈과 환상의 도취, 한국현대문학연구 20, 2006.
205. 조완호, 정지용 시의 내적 향수를 위한 모색과정 연구 -산을 통한의 세 계로의 연착륙을 중심으로, 우리문학연구 18, 2005.
206. 조항범, 정지용의 「향수」에 쓰인 몇 가지 시어의 의미에 대하여, 한국시학 연구 20, 2007.
207. 진수미, 정지용 시의 회화지향성 연구, 비교문학 41, 2007.
208. 진순애, 정지용 시의 내적 동인으로서의 동시, 한국시학 연구 7, 2002.
209. 채규판, 정지용의 시 연구 1-시를 통한의 전개와 연관하여, 한국시문학 14, 2004.
210. 채형석, 정지용 시의 성향, 국어국문학연구 18, 1996.
211. 최동호, 정지용의 산수 시와 성정의 시학, 시와 시학 46, 2002.
212. 최동호, 정지용의 산수 시와 은일의 정신, 민족문화연구 19, 1986.
213. 최동호, 정지용의 장수산과 백록담, 경희어문학 6, 1983.
214. 최승옥, 정지용 시 연구, 우암논총 11, 1994.
215. 최승호, 정지용 자연 시에 나타난 情?景에 대한 고찰, 한국현대문학연구 4, 1995.
216. 최승호, 정지용 자연시의 은유적 상상력, 한국시학 연구 1, 1998.
217. 최정례, 정지용과 백석이 수용한 전통의 언어-시어 선택과 시적 태도를 중심으로, 어 문논집 48, 2003.
218. 최지현, 정지용 시의 은유 구조, 호서문화논총 15, 2001.
219. 최학출, 정지용의 초기 시 연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14, 2002.
220. 최학출, 정지용의 초기 자유시 형태와 형식적 가능성에 대하여, 울산어문논집 15, 2001.
221. 태목면, 정지용과 「근대풍경」, 숭실어문 9, 1992.
222. 하영진, 정지용의 시 「밤」의 공간 기호론적 연구, 새얼어문논집 9, 1996.
223. 하재연, 일본 유학 시기 정지용 시의 특성과 창작의 방향, 비교한국학 15, 2007.
224. 함동선? 조완호, 정지용의 시에 나타난 도가정신에 관한 연구, 중앙대 예술대 창론 13, 1993.
225. 허윤회, 정지용과 번역, 민족문학사연구 28, 2005.
226. 홍의표, 정지용 시 연구, 논문집 11, 1989.
227. 황정산, 정지용 시의 운율론적 연구, 순천향어문 논집 5, 1998.
228. 황종연, 정지용의 산문과 전통에의 지향, 한국문학연구 10, 1987.
229. 정노풍, 시단 회상-새해에 잊히지 않는 동무들-정지용 군, 동아일보, 1930. 01.16~18
230. 배상철, 문인의 골상평, 중외일보, 1930. 08.12~19
231. 박팔양, 『정지용 시집』에 대하야, 조선중앙일보, 1935. 12. 07
232. 이양하, 바라든 『지용시집』, 조선일보, 1935. 12. 07~11
233. 모윤숙, 『정지용 시집』을 읽고, 동아일보, 1935. 12. 10
234. 박종화, 감수의 연주 『정지용 시집』, 매일신보, 1935. 12. 12~13
235. 박팔양, 지용과 임화 시, 중앙 27, 1936. 01
236. 변영로, 정지용 군의 시, 신동아 51, 1936. 01
237. 김기림, 『정지용 시집』을 읽고, 조광 3, 1936. 01
238. 이고산, 『정지용 시집』에 대하여, 조선중앙일보, 1936. 03. 25
239. C기자, 시인 정지용 씨와의 만담집, 신인문학, 1936. 08
240. 신석정, 정지용론, 풍림 5, 1937. 04
241. 김환태, 정지용론, 삼천리문학 2, 1938. 04
242. 김동석, 시를 위한 시-정지용론, 상아탑 5, 1946. 03
243. 홍효민, 정지용론, 문화창조, 1947. 03
244. 조연현, 수공업예술의 말로-정지용 씨의 운명, 평화일보, 1947. 08
245. 설정식, 시인 정지용을 방문하다, 신세대 3권 2호, 1948. 02
246. 조연현, 산문정신의 모독-정지용 씨의 산문문학관에 대하여, 예술사조 4, 1948. 09
247. 김광현, 내가 본 시인-정지용·이용악 편, 민성, 1948. 09~10
248. 이광현, 정종과 막걸리-정지용에 대한 소고, 자유신문, 1949. 03
249. 김춘수, 한국 현대시 형태론, 해동문화사, 1959.
250. 최창록, 한국 시 문체의 전통적 요소와 현대적 요소-소월과 지용을 통해 본, 경북대 1962.
251. 이재철, 이상의 시사적 위상-소월,지용과 비교해 본, 문예, 1963. 12
252. 오탁번, 지용 시 연구-그 환경과 특성을 중심으로, 고려대. 1971.
253. 양왕용, 1930년대 한국시의 연구-정지용의 경우, 시문학, 1972. 02
254. 송상일, 어둠 속의 시와 종교, 현대문학 288, 1978. 12
255. 이진흥, 정지용의 작품 을 통한 시의 존재론적 해명, 경북대, 1979.
256. 이숭원, 정지용 시 연구, 서울대, 1980.
257. 윤석산, 소월 시와 지용 시의 대비적 고찰-자연관을 중심으로, 한양대, 1981.
258 .정은희, 지용 시에 나타난 물의 이미지 연구, 세종대. 1981.
259. 정태춘, 정지용의 시 연구, 서강대, 1981.
260. 민병기, 정지용론, 고려대 1981.
261. 박혜숙, 정지용 시 연구, 건국대, 1981.
262. 서경석, 정지용 시의 변모과정-내면의식을 중심으로, 어문학교육, 1981.12
263. 서기남, 시문학파 연구-영랑,용아,지용을 중심으로, 조선대, 1982.
264. 정규웅, 북행문인 정지용과 김기림, 정경문화 220, 1983. 06
265. 이숭원, 에 담긴 지용의 미학, 어문연구 12, 1983. 12
266. 국원우, 한국 이미지즘 시 연구-지용을 중심으로, 중앙대, 1984.
267. 송기태, 정지용 시 연구-서정적 자아와 동일성의 문제, 동국대, 1984.
268. 마광수, 정지용의 시 , 에 대하여, 연세대 인문과학, 1984. 06
269. 김명인, 1930년대 시의 구조 연구-정지용,김영랑,백석의 시를 중심으로, 고려대, 1985.
270. 노혜경, 정지용의 세계관 연구-가톨릭적 세계관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부산대, 1985.
271. 연규화, 정지용시 연구, 인하대, 1985.
272. 송기태, 정지용시의 의미구조, 동악어문논집, 1985. 07
273. 지선영, 정지용 시의 감각과 시적 변용, 이화여대, 1986.
274. 이어령, 창의 공간기호론-정지용의 유리창, 문학사상 186, 1988.04
275. 이숭원, 정지용 시의 환상과 동경, 문학과비평 6, 1988. 05
276. 최두석, 정지용의 시세계-유리창 이미지를 중심으로, 창작과비평 60, 1988. 06
277. 홍정운, 소외된 자아의 공간-정지용의 시세계, 월간문학 232, 1988. 06
278. 홍농영이, 정지용과 일본시단-일본에서 발굴한 시와 수필, 현대문학 405, 1988. 09
279. 박덕은, 정지용의 작품세계, 금호문화 21~22, 1988. 09~10
280. 윤지관, 수수시의 정치적 무의식, 외국문학 17, 1988. 12
281. 한종수, 정지용시 연구, 전북대, 1989.
282. 정끝별, 정지용 시의 상상력 연구-시간과 공간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1989.
283. 김건일, 정지용 시의 연구, 인하대, 1989.
284. 김원배, 한국 이미지즘시 연구-이장희, 정지용, 김광균을 중심으로, 인천대, 1990.
285. 남상운, 정지용 시에 나타난 이미지 연구, 조선대, 1990.
286. 조영일, 정지용 시의 카톨리시즘, 관동대, 1990.
287. 송정종, 정지용 시 연구-특히 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중앙대, 1990.
288. 김성태, 정지용 시의 표현에 관한 고찰, 경기대, 1990.
289. 김형미, 정지용론-그의 시적 소재의 유형을 중심으로, 연세대, 1990.
290. 김 훈, 정지용 시의 분석적 연구, 서울대, 1990.
291. 장도준, 정지용 시의 연구, 연세대, 1990.
292. 원구식, 정지용론, 현대시 1권 3호, 1990. 03
293. 이숭원, 정지용 시에 나타난 고독과 죽음, 현대시 1권 3호, 1990. 03
294. 노병곤, 정지용 시 연구, 한양대, 1992.
295. 김윤식, 유리창 열기와 안경 쓰기-정지용론, 동서문학 206, 1992. 09
296. 김석환, 정지용 시의 기호학적 연구-공간기호체계의 구축과 변환을 중심으로, 명지대, 1993.
297. 문진아, 정지용 시 연구, 한국교원대, 1993.
298. 성대상, 정지용 시 연구-그의 색채 유형을 중심으로, 연세대, 1993.
299. 이창민, 정지용 시 연구-의 이미지의 변모양상을 중심으로, 고려대, 1993.
300. 김영덕, 정지용 시에 나타난 좌절양상 연구, 계명대, 1993.
301. 김지태, 정지용 시 연구-현실인식을 중심으로, 단국대, 1993.
302. 권정우, 정지용 시 연구-시점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 1993.
303. 한상선, 정지용 시 연구, 인하대, 1993.
304. 송희복, 한국 시의 고전주의-정지용과 조지훈, 오늘의 문예비평 10, 1993. 09
305. 김호찬, 정지용 시의 특성고찰, 조선대, 1994.
306.양선주, 정지용 시 연구, 원광대, 1994.
307. 주은일, 정지용 시의 변모양상 고찰, 조선대, 1994.
308. 임점식, 정지용 시 연구-운율에 관하여, 국민대, 1994.
309. 이기형,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 시 연구-정지용 시를 중심으로, 인하대, 1994.
310. 안주헌, 정지용 산문시의 문학적 특성, 광운대, 1994.
311. 김용희, 정지용 시의 어법과 이미지의 구조, 이화여대, 1994.
312. 박규봉, 정지용 시 연구, 전북대, 1994.
313. 권오만, 정지용 시의 은유 검토, 시와시학 14, 1994. 06
314. 최 상, 韓國 現代詩에 投影된 幼年期 體驗의 詩的 特質에 관한 硏究 : 尹東柱, 鄭芝 溶, 白石을 中心으로, 원광대, 1996.
315. 고정원, 1930년대 자유시의 산문지향성 연구 : 김기림, 정지용, 백석을 중심으로, 경북 대,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