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계현황
지형·유역환경
- 조간대가 넓게 발달, 일제강점기에는 백금포 인근까지 간석지가 발달
- 2000년대까지 진행된 간척사업으로 하구역 주변에 간척지가 넓게 발달
- 인공시설물로서 보가 있는 하천상류(Ⅲ~Ⅴ 구간)에는 급격한 유속 감소로 퇴적량 증가하여 높은 밀도의 하중도습지 발달
- 퇴적물 토성은 주로 sandy silt
- 간척사업으로 축소된 간척지
- 상류지역 물막이 보
수리·수문
목리교 수중보, 해수가 유입되는 기수역 종점
- 탐진강, 금강천, 칠량천 등의 하천 영양염류 공급으로 풍부한 기수역 생태계 형성
- 강진만 간척사업, 하천정비사업 등의 교란 요인에 의한 환경변화 발생
- 탐진강 수질은 강진읍을 지나는 동안 생활하수 등의 영향으로 SS와 EC는 증가
- Ⅳ구간 목리교 지점은 담수와 혼합지점으로 DO농도 급변하는 형태 확인
- Ⅰ~ Ⅱ 구간에서 수심 1m, 2m 부근까지 염분약층이 형성
식생
- 대부분 하천 정비사업으로 직강화 되었으나, 자연성 높은 습지식생 발달
- Ⅴ구간: 식생 발달 빈약, 달뿌리풀군락, 줄군락, 매자기군락 등이 패치형태로 분포
- Ⅳ구간: 유속 감소로 넓게 발달한 퇴적지형에 왕버들군락, 달뿌리풀군락,갈대군락 등
- Ⅰ~Ⅲ구간: 갈대군락 우점, 천일사초군락, 갯잔디군락이 소규모로 분포
- Ⅴ구간의 줄군락
- Ⅲ구간의 왕버들, 달뿌리풀 우점 경관
- Ⅰ구간의 갈대군락
식물상
- 총 103과 281속 382종 37변종 3품종 424분류군 확인
-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46종 확인
- 염생식물 24종 확인(갈대, 지채 등)
- 수생식물 45종 확인(이삭물수세미, 왜개연, 마름 등)
- 귀화식물 59종 확인(염소풀, 가죽나무 등) 귀화율은 13.9%, 도시화지수는 18.4%
- 왜개연(수생식물)
- 지채(염생식물)
- 어리연(수생식물)
조류
- 총 75종 4,958개체 관찰
- 멸종위기야생생물 4종(Ⅱ급: 큰기러기, 큰고니, 노랑부리저어새, 알락꼬리마도요)
- 노랑부리저어새(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
- 청다리도요
- 깝작도요
포유류
- 총 4목 9과 12종의 흔적 확인
- 멸종위기야생생물 2종(Ⅰ급: 수달, Ⅱ급: 삵) 확인
- 수달 배설물
- 삵 배설물
- 작은땃쥐
어류
- 총 17과 47종 확인
- 한국고유종 9종(각시붕어, 참중고기, 긴몰개, 왜매치 등)
- 우점종은 피라미(457개체, 29.7%), 아우점종은 갈겨니(221개체, 14.4%)
- 과별 개체수는 잉어과(65.5%), 망둥어과(22.6%), 숭어과 (4.7%) 등의 순으로 많음
- 멸종위기야생생물 1종(Ⅱ급: 꺽저기), 외래종 1종(배스) 확인
- 꺽저기
- 배스
양서·파충류
양서류
- 총 2목 4과 7종 양서류 관찰, 우점종은 참개구리로 확인
- 생태계교란 야생동물 1종(황소개구리) 확인
파충류
- 총 1목 2과 4종 파충류 관찰, 우점종은 줄장지뱀로 확인
- 옴개구리
- 참개구리
육상곤충
- 총 10목 69과 294종 확인
- 우점종은 양봉꿀벌, 아우점종은 서식지 유형별 다양하게 확인
-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종 24종, 한국고유생물종 4종, 국가기후변화생물지표종 6종, 한국 적색목록종 7종 확인
- 여름어리표범나비 (한국 적색목록종)
- 먹그림나비 (국가기후변화생물지표종)
담수무척추동물
- 총 4문 8강 20목 35과 51종 출현
- 절지동물문 32종(63%), 연체동물문 11종(21%), 환형동물문 7종(14%), 편형동물문 1종(2%)
- 주요 서식종은 새뱅이, 작은말조개 등
기수역무척추동물
- 총 3문 5강 17목 31과 53종 서식 확인
- 절지동물문 28종(52.9%), 연체동물문 20종(37.7%), 환형동물문 5종(9.4%) 확인
- 멸종위기야생생물 3종(Ⅱ급: 붉은발말똥게, 기수갈고둥, 대추귀고둥) 확인
- 붉은발말똥게
- 기수갈고둥
- 대추귀고둥
식물플랑크톤
- 총 7문 7강 11목 26과 45속 77종 4변종 총 81분류군 확인
- 영양염류는 대체로 부영양 상태를 나타냈으나 홍수기(7월)에 일부 구간에 빈영양 또는 중영양의 상태로 되며, BOD의 농도는 계절에 따른 변화가 큼
동물플랑크톤
- 총 85종 확인
- 윤충류 25종, 지각류 8종, 요각류 30종, 서서곤충 6종, 십각류 4종 등
- 우점종은 Acartia속의 대표적인 연안종들로서 Acartia hudsonica, A. omorii, A. ohtsukai가 빈도 높게 출현
- 기수성 요각류는 연중 정점Ⅰ에서 최대출현량 기록, 3월에는 정점Ⅱ에서 다량출현
하구역생태계 정밀조사 분야별 출현종 현황
조사 년도 | 지역 | 권역 | 합계 | 식물상 | 조류 | 포유류 | 어류 | 양서·파충류 | 육상 곤충 | 담수무척추 동물 | 기수무척추 동물 | 식물 플랑크톤 | 동물 플랑크톤 |
---|---|---|---|---|---|---|---|---|---|---|---|---|---|
2014 | 가곡천 | 동해 | 1,021 | 346 | 65 | 7 | 23 | 12 | 383 | 65 | 6 | 38 | 76 |
탐진강 | 남해 | 1,131 | 424 | 75 | 12 | 47 | 11 | 325 | 51 | 53 | 48 | 85 | |
2013 | 구산천 | 남해 | 694 | 200 | 38 | 7 | 15 | 10 | 192 | 47 | 13 | 83 | 53 |
남상천 | 남해 | 782 | 254 | 41 | 6 | 22 | 14 | 202 | 60 | 16 | 77 | 22 | |
2012 | 가화천 | 남해 | 342 | 108 | 27 | 7 | 13 | 16 | 215 | 16 | 37 | 60 | 37 |
곤양천 | 남해 | 400 | 129 | 38 | 3 | 26 | 13 | 230 | 45 | 23 | 60 | 40 | |
사천강 | 남해 | 542 | 94 | 35 | 6 | 22 | 15 | 162 | 55 | 21 | 70 | 43 | |
2011 | 남대천 | 동해 | 664 | 248 | 84 | 9 | 30 | 5 | 99 | 31 | 13 | 85 | 22 |
주수천 | 동해 | 623 | 223 | 48 | 10 | 22 | 15 | 112 | 40 | 15 | 75 | 19 | |
마읍천 | 동해 | 695 | 259 | 65 | 10 | 29 | 13 | 110 | 41 | 14 | 94 | 18 | |
2010 | 동천 | 남해 | 715 | 196 | 120 | 10 | 26 | 16 | 133 | 27 | 22 | 65 | 41 |
벌교천 | 남해 | 489 | 137 | 70 | 10 | 21 | 14 | 65 | 13 | 14 | 75 | 21 |
주요결과
- 일제시대 이후 지속적인 개발로 많은 면적의 간석지가 간척지로 변환-> 갯벌습지 감소
- 열린하구로서 넓은 면적에 걸쳐 자연적인 기수역 환경 형성-> 자연적 기수역 생태계 발달
- 입지의 환경조건에 따라 다양한 습지식생이 발달, 기수역은 갈대군락이 우점
- 멸종위기야생생물 10종(Ⅰ급:1종, Ⅱ급:9종)을 포함한 총 1,131종의 생물종 서식
- 지난 10년간 조사된 남해안 11개 하구역의 평균 출현종 548종보다 매우 높은 수준
- 자연적인 염도 구배에 따라 전형적이고 다양한 하구역 생태계가 형성되어 담수와 해수에 서식하는 각종 생물들에게 중요한 서식처를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