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대

작성일
2016.10.12 11:30
등록자
관리자
조회수
732
첨부파일(1)
ilt001tg1166.jpg

생 물 종 : 식물

분류체계(국문명) : 식물계 > 현화식물문 > 백합강 > 벼목 > 화본과

일반적 특징

잎은 2줄로 어긋나기 하며 좁고 긴 피침형이며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처지며 잎집은 원줄기(근본을 이루는 줄기)를 둘러싸고 털이 있을 때도 있으며 길이 20~50cm, 너비 2~4cm로서 가장자리가 거칠고 녹색이다. 설편은 짧고 가장자리에 털이 난다. 꽃은 9월에 피고 원추꽃차례(꽃차례의 축이 여러 번 가지가 갈라져서 마지막에 갈라진 가지가 총상꽃차례가 되고 전체가 원뿔 모양을 이루는 꽃차례)는 끝이 밑으로 처지며 길이 15~40cm로서 넓은 난형이고 자주색에서 자갈색으로 변하며 작은 이삭은 길이 10~17mm로서 2~4개의 소화(꽃차례를 이루는 작은 꽃)로 된다. 포영(잔 이삭의 밑동에 있는 몇 개의 잎)은 호영(벼과 식물 꽃의 맨 밑을 받치고 있는 한 쌍의 작은 조각)보다 짧고 3맥이 있으며 첫째 소화는 수꽃이고 길이 10~15mm로서 끝이 뾰족하며 기반(벼과의 이삭을 구성하는 작은 꽃의 자루 끝)의 털은 길이 6~10mm이다. 암술과 수술이 다 있는 소화의 호영은 안쪽으로 말려서 끝이 까끄라기처럼 되고 수술은 3개이며 꽃밥은 길이 2mm 정도이다. 영(벼과 식물의 꽃에 있는 이삭잎의 일종)은 2조각이고 길이가 다르며 총포(꽃차례 밑에 붙은 포)의 털은 길다.

생태적 특징

제주, 전북, 경북, 충남, 강원, 경기, 함남, 함북에 야생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높이 1~3m에 달하고 원줄기(근본을 이루는 줄기)는 속이 비고 마디에 털이 있는 것도 있으며 길고 원기둥 꼴이며 단단하고 모여나며 곧게 선다. 뿌리줄기는 거칠고 크며 길게 가로로 뻗고 마디에서 많은 수염뿌리가 나며 황백색이다. 습지나 갯가, 호수 주변의 모래땅에 모여서 자란다. 북반구의 온대 및 아한대에 분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