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농사정보 제26호 (2013.6.23~6.29)
- 작성일
- 2013.06.20 11:43
- 등록자
- 관리자
- 조회수
- 1493
첨부파일(1)
-
한글파일 주간농사정보(제26호,+2013[1].6.23~6.29.).hwp
177 hit/ 0 Bytes
벼 농 사
1. 서둘러 2모작 모내기
❍ 2모작으로 늦모내기 하는 논은 늦어도 6월말 이전에 완료
* 지대별 이앙한계기 : 중부지방 6. 25일경, 남부지방 6. 30일경
❍ 늦모내기 할 경우에는 새끼치기 하는 기간이 적어지므로 포기당 모수를 늘려 심도록 하고 포기수도 1모작보다는 늘려 심어야 함
2. 본답 물 관리
❍ 일찍 심어 참 새끼치기가 끝난 논은 중간 물 떼기를 실시
❍ 중간 물 떼기 시기는 이삭패기 전 40일에서 30일 사이에, 논바닥에 가벼운 실금이 갈 정도로 중간 물 떼기를 하는데 배수가 좋은 사양토는 5~7일간, 배수가 잘 안 되는 점질토는 7~10일 정도 비교적 강하게 금이 가도록 물떼기 실시
3. 병해충 관리
❍ 이앙 전 살충제 처리가 안 된 애멸구 발생 상습지역에서는 본답에서 입제 처리
❍ 벼물바구비는 벼 새끼치기가 끝나면 논물을 최대한 말리고, 6월 중순경부터는 유충이 벼뿌리를 가해하여 피해를 주는 경우가 있으므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방제
❍ 잎도열병은 거름기가 많은 논에서 비가 자주 내리면 발생이 우려되고 장마가 지속되면 호평벼, 일품벼 등 도열병에 약한 품종과 잎색이 짙고 잎이 늘어진 논 등에서 발생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므로 발생초기에 적용약제로 방제
*도열병에 약한 품종 : 화성벼·청아벼 등(중생종), 추청벼·일품벼·일미벼·신동진벼·호평벼·청담벼·진백벼 등(중만생종)
❍ 벼잎굴파리 등은 논물을 얕게 관리하고, 피해 잎이 나타나면 벼물바구미 등 본답 초기 해충과 동시에 방제
* 기타자세한 사항은 첨부 파일을 참조하세요.
1. 서둘러 2모작 모내기
❍ 2모작으로 늦모내기 하는 논은 늦어도 6월말 이전에 완료
* 지대별 이앙한계기 : 중부지방 6. 25일경, 남부지방 6. 30일경
❍ 늦모내기 할 경우에는 새끼치기 하는 기간이 적어지므로 포기당 모수를 늘려 심도록 하고 포기수도 1모작보다는 늘려 심어야 함
2. 본답 물 관리
❍ 일찍 심어 참 새끼치기가 끝난 논은 중간 물 떼기를 실시
❍ 중간 물 떼기 시기는 이삭패기 전 40일에서 30일 사이에, 논바닥에 가벼운 실금이 갈 정도로 중간 물 떼기를 하는데 배수가 좋은 사양토는 5~7일간, 배수가 잘 안 되는 점질토는 7~10일 정도 비교적 강하게 금이 가도록 물떼기 실시
3. 병해충 관리
❍ 이앙 전 살충제 처리가 안 된 애멸구 발생 상습지역에서는 본답에서 입제 처리
❍ 벼물바구비는 벼 새끼치기가 끝나면 논물을 최대한 말리고, 6월 중순경부터는 유충이 벼뿌리를 가해하여 피해를 주는 경우가 있으므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방제
❍ 잎도열병은 거름기가 많은 논에서 비가 자주 내리면 발생이 우려되고 장마가 지속되면 호평벼, 일품벼 등 도열병에 약한 품종과 잎색이 짙고 잎이 늘어진 논 등에서 발생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므로 발생초기에 적용약제로 방제
*도열병에 약한 품종 : 화성벼·청아벼 등(중생종), 추청벼·일품벼·일미벼·신동진벼·호평벼·청담벼·진백벼 등(중만생종)
❍ 벼잎굴파리 등은 논물을 얕게 관리하고, 피해 잎이 나타나면 벼물바구미 등 본답 초기 해충과 동시에 방제
* 기타자세한 사항은 첨부 파일을 참조하세요.